황금성게임 ㆀ 28.rfm813.top ㆀ 파칭코하는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반성규수 작성일25-10-30 08:44 조회6회 댓글0건관련링크
-
http://15.rkp925.top
5회 연결
-
http://7.rhq451.top
5회 연결
본문
【93.rfm813.top】
황금성 슬롯바다이야기5만모바일 야마토바다이야기 게임기
니콜라옙스크 한인 무장부대의 김낙현(김 인노켄티) 참모장은 자신이 이끌었던 험난한 행군 경험을 이렇게 회상했다.
우리 ‘사할린 조선인 빨찌산 특립연합부대’는 케르비에서 떠나 밀림을 뚫고 자유시까지 1200~1300㎞의 무서운 험로를 돌파해야 하였다. 이 험준한 장정은 9월 초에 시작되었다. 우리의 행군 로정에는 식량을 충분히 보충할 만한 그런 부락들이 없었다. 그리하여 우리는 굶주림을 면치 못했다. 무서운 고생을 하면서 아무르주에 당도하게 되니….1
예가람 행군 노정은 케르비에서 스보보드니(자유시)까지였다. 도합 1200~1300㎞에 이르는 장거리였다. 한반도 최남단 목포에서 최북단 온성에 이르는 거리와 비슷했다. 그중에서 첫 400㎞ 구간이 가장 험난했다. 중간 기착지인 예킴찬까지 가려면 암군강과 셀렘자강의 분수령인 얌알린 산맥을 넘어야 했다. 무성한 타이가 원시림 지역이었다. 이렇다 할 교통수단도 국민은행대출신청 없었다. 길이 있었지만, 금광을 찾느라 낸 좁은 산길에 불과했다. 오직 걸어서 넘을 수밖에 없었다. 김낙현은 이 길을 ‘무서운 험로’라고 표현했다.
겨울이 오기 전 자유시로… 항일 독립군의 고된 행군
도대체 누가 왜 이런 행군에 나서야 했을까. 김낙현이 ‘사할린 조선인 빨찌산 특립연합부대’라고 호명한 이 군사단체는 트랴 지원동기및특이사항 피친 사령관 지휘하에 니콜라옙스크 해방전투에 참전했던 항일 무장부대였다. ‘니항한인군대’라고도 불리던 이 부대의 명칭은 스스로 발표한 포고문에 따르면 ‘니시(尼市·니콜라옙스크) 대한독립군’이었다.
대한독립군만이 행군에 나선 것은 아니었다. 1920년 7월 케르비 쿠데타를 통해 트랴피친 지휘부를 전복하고 군 지휘권을 장악한 안드레예프 휘하의 미국 자동차 모든 적색 빨치산 부대가 그 길에 올랐다. 군대만이 아니었다. 민간인들도 대거 이동시킬 계획이었다. 피란민 대중의 식량 문제를 해결하고, 예견되는 일본군의 내습에 대비하려면 겨울이 오기 전에 아무르주 주도인 블라고베셴스크로 이동해야만 했다.
얌알린산맥을 넘는 행군은 결국 빨치산과 일부 주민에게만 한정됐다. 여성과 어린이는 아무르강 수로를 일반전세자금대출조건 이용하는 것이 허용됐기 때문이다. 여성과 어린이 3500명 이상이 증기선 편으로 이송됐다. 수로를 장악한 일본군은 대포와 기관총구를 줄지어 늘어놓은 삼엄한 감시 속에 난민을 태운 증기선들을 통과시키고 있었다.
성인 남성은 육로를 택해야 했다. 걸어서 산맥을 넘었다. 그들은 행군 중에 갖은 고통을 겪었다. 길은 자주 끊겼다. 길 없는 숲을 가로질렀고, 늪지대와 급류를 건너야 했다. 하루 종일 끊임없이 윙윙거리는 모기떼에 시달렸다. 몸 전체에 모기 물린, 피로 얼룩진 줄무늬와 흉터가 생겼다. 가장 큰 고통은 식량 부족이었다. 행군 도중에 식사를 공급할 수 있는 지점을 사전에 조직했지만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식사량은 언제나 부족했고, 사람들은 굶주림을 면치 못했다.
트랴피친 죽음을 둘러싼 제19연대의 내부 분열
대한독립군의 행군이 시작된 때는 1920년 9월 초였다. 그들은 예킴찬까지 육로로 400㎞, 그곳에서 셀렘자강의 수로를 통해 약 800㎞를 이동해 마침내 목적지 자유시에 도착했다. 대한독립군이 현지의 한인 무장부대(한인보병자유대대)의 환영식을 받은 것이 그해 10월12일이었다.2 고난의 행군을 마치는 데 도합 40일이 걸렸음을 알 수 있다.
대한독립군만이 아니었다. 니콜라옙스크의 러시아인 빨치산 부대들도 앞서거니 뒤서거니 자유시에 집결했다. 트랴피친이 창설한 빨치산 부대의 구성원이었다. 이들은 인민혁명군 제2군단 제19연대로 재조직됐다. 유격전을 수행하는 비정규군이 아니라 극동공화국의 정규 군대로 재편된 것이다. 대한독립군도 그 일원이 됐다. 제19연대의 제3대대로 배속됐다.
그러나 새로 편성된 제19연대는 극동공화국 당국의 신뢰를 얻지 못했다. 트랴피친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의심을 받았다. 반대파의 시각에 따르면, 그들은 “군율에 복종치 않고, 지방 인민에게 악폐를 끼치고, 일반 군계에 풍기를 문란”케 했다.3 심지어 자유시 일대를 멋대로 장악하려는 음모까지 꾸몄다는 혐의를 받았다.
실제 제19연대 군인들의 여론은 둘로 나뉘어 있었다. 하나는 탁월한 혁명 지도자 트랴피친과 그 동료들이 억울한 죽임을 당했다고 보는 견해이고, 다른 하나는 그를 숙청함으로써 무분별한 학살과 약탈을 저지할 수 있었다고 보는 견해이다. 이 중에서 전자가 다수를 점했다. 훨씬 더 많은 병사가 트랴피친을 동정했다. 그에게 들씌워진 학살자, 약탈자 따위의 악평은 근거 없는 것이라고 보았다. 한인들도 그랬다. 트랴피친 처형에 가담한 박병길·김낙현 등의 그룹은 절대다수의 한인 병사들로부터 비난을 받았다.4 항일투쟁의 공로자인 트랴피친을 총살하는 데 가담한 행동을 용서할 수 없는 배신으로 여겼다.
‘박병길 면직’ 조건으로 자유대대 합류한 대한독립군
니콜라옙스크 대한독립군과 한인보병자유대대의 갈등을 기록한 소책자 ‘재노고려혁명군대연혁’ 표지. 임경석 제공
극동공화국 당국은 신속하게 대응했다. 10월22일이었다. 제19연대가 새로 조직된 지 10일밖에 지나지 않은 시점이었다. 제2군단 지휘부는 군대를 출동시켜 제19연대를 포위하고, 그들의 무장을 해제했다. 자유시 구역 전복 음모 혐의 때문이었다. 결국 제19연대는 해산됐고, 음모 사건에 관계하지 않았다고 인정받은 군인들만 그 밖의 연대에 뿔뿔이 흩어진 채로 편입됐다.
한인들로 구성된 제19연대 3대대도 같은 운명을 맞았다. 3대대는 해산됐고, 그 구성원들은 한인보병자유대대(약칭 자유대대)에 편입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러나 옛 대한독립군 병사들은 자유대대 배속을 달가워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자유대대가 트랴피친 축출에 가담한 박병길 그룹을 중용했기 때문이다. 박병길은 자유대대 참모부 비서라는 요직에 올랐고, 모스크바 유학생으로 추천받아 머지않아 러시아 수도로 향발할 예정이었다. 그 밖에 김낙현, 안기석, 채재현 등도 확대 개편된 자유대대의 중대장, 소대장 직위에 취임했다. 옛 대한독립군 병사들은 항일투쟁의 동지 트랴피친을 배신한 자들이 지휘관 자리에 재직하는 한 결코 명령을 따를 수 없다고 생각했다.
이유는 또 있었다. 자유대대는 대한국민의회의 ‘정신적 지도’를 받는 군대이기 때문이었다. 옛 대한독립군 병사들은 3·1운동의 소산인 상하이 임시정부를 독립운동의 최고기관으로 보고 있었다. 그런데 러시아 영내 일개 교민단체에 지나지 않는 대한국민의회가 그를 대신해 군 지휘권을 행사하려는 것은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했다.
옛 대한독립군 병사들은 조건을 내세웠다. 자유대대 배속을 받아들이는 대신 박병길 그룹의 간부직 면직을 요구했다. 집단행동도 마다하지 않았다. 연명 청원서를 냈고, 자유대대 지휘부 건물에 몰려와 그들의 해임을 요구하는 시위도 벌였다. 그리고, 박병길이 암살됐다. 그의 피살을 현장에서 목격한 김낙현은 이렇게 회고했다.
‘그날 밤 11시경에 10여 명 되는 무장한 사람들이 가면을 쓰고 와서 영창을 지키는 파수병들을 무장해제시키고, 영창 안에 들어가 “박병길이 어디 있소?” 하고 소리쳤다. 그러니 박병길이는 “내가 여기 있소” 하고 대답하면서 자기 갇혀 있던 방에서 나왔다. 이때 그들은 그를 총으로 쏘고 총창으로 찔러 잔인하게 죽였다.’5
케르비 쿠데타를 향한 니시 빨치산의 원한과 분노
박병길의 무덤가에서 발견된 홍마리아의 주검. 김영주 화백의 삽화. 박계주 연재소설 ‘대지의 성좌’ 282회, 동아일보 1958년 9월10일 4면. 임경석 제공
‘그날’이란 1921년 1월28일을 가리킨다. 니콜라옙스크 대한독립군이 자유시에 도착한 지 2개월 보름쯤 지난 뒤였다. 짧은 기간에 한인 빨치산 내부의 적대감이 극도로 악화했음을 볼 수 있다. ‘밤 11시경’이라 하니 어둡고 추운 시간대였다. 자유시의 1월 평균 기온은 최하 –27도였고, 한낮에도 –17도 전후를 오르내렸다.6
피살 장소는 ‘영창’이었다. 자유시 지방수비대 유치장에 박병길과 김낙현 등 한인 빨치산 장교 4명이 수감돼 있었다. 모두 트랴피친 지휘부를 처형하는 데 주도적으로 가담한 이들이었다. 이들은 왜 군대 유치장에 갇혀 있을까? 보호하기 위해서였다. 자유대대 지휘관이자 자유시 수비대장을 겸하던 오하묵 사령관은 집단행동을 하는 옛 대한독립군 병사들을 회유하는 한편, 네 장교의 안전을 도모하고자 했다. 파수병까지 세운 이유였다.
얼굴을 가린 무장한 사내 10여 명이 유치장을 급습했다. 병영 내 유치장에 접근하는 길을 알고, 또 파수병들을 손쉽게 무장해제시킨 것을 보면 군인임이 틀림없는 것 같다. 그들은 총기를 휴대했다. 수감자 가운데 박병길 한 사람만 특정해 잔인하게 사살했다. 이 일은 불과 몇 분 사이에 신속하게 이뤄졌다. 그 뒤 범인들은 현장을 벗어나서 감쪽같이 사라져버렸다. 범인이 어떤 자들인지는 끝내 밝혀지지 않았다.
트랴피친 지휘부 23명을 총살형에 처했던 케르비 쿠데타는 니콜라옙스크 빨치산들의 가슴속 깊이 원한과 분노를 심었던 것 같다. 쿠데타를 이끌었던 안드레예프도 박병길과 비슷한 운명을 겪었다. 안드레예프는 세 번의 암살 시도를 겪었다. 첫 번째 사건은 어느 기차역에서 일어났다. 겨울인데 일행 가운데 한 사람이 안드레예프의 털코트를 빌려 입고서 잠깐 플랫폼에 내려갔다가 여러 발의 총을 맞고 사망했다. 한번은 블라고베셴스크에 거주할 때 그의 아파트로 귀가하는 중에, 총알이 그의 팔을 스치고 지나갔다. 그의 삶은 끊임없이 위험에 처했다.7
박병길에게는 약혼녀가 있었다. 니콜라옙스크에서 함께 성장한 홍마리아라는 여성이었다. 러시아 사범학교를 졸업하고 블라고베셴스크에서 교사로 재임 중이었다. 그는 박일리야의 고종사촌 동생이기도 했다. 약혼자의 신변이 위태로워짐을 감지한 홍마리아는 박일리야를 찾아가 애원했다고 한다. 박일리야는 결국 용서를 약속했지만, 끝내 박병길의 죽음을 막지는 못했다.
박병길의 장례식이 있던 날, 홍마리아는 검은 베일을 쓰고 망자의 아내 자격으로 참석해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그뿐만이 아니다. 그 이튿날 갓 조성한 박병길의 무덤 곁에서 그의 주검이 발견됐다. 사람들은 또 한 번 놀랐다. 홍마리아는 자기 속마음을 담은 유서를 남겼다고 한다. 유서는 유감스럽게도 오늘날까지 전해지지 않는다.
참고 문헌
1. 김낙현, ‘빨찌산의 수기’, 1967년 2월20일, ‘한국독립운동사자료집 홍범도 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10~411쪽, 1995년.
2. 고려혁명군대 문명부, ‘재노고려혁명군대연혁’, 6쪽, 1922년 8월,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鮮人과 過激派(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DB.
3. 위의 글 , 16 쪽 .
4. 김세일 , ‘ 홍범도’ 4, 제 3 문학사 , 49~50 쪽, 1990년.
5. 김낙현, 앞의 글, 411쪽.
6. Погода в Свободном в январе( 스보보드니 1 월 날씨 ), https://yandex.ru/pogoda/ru/svobodniy/month, 2025 년 10 월 21 일 접속 .
7. Рассказ моей мамы Марии Ивановны Лоскутниковой(내 어머니 마리아 이바노브나 로스쿠트니코바의 이야기), https://lektsia.com/15x7678.html 2025년 9월15일 접속.
글·사진 임경석 성균관대 사학과 명예교수·‘독립운동 열전’ 저자
*임경석의 역사극장: 한국 사회주의 운동사의 권위자인 저자가 한국 근현대사 사료를 토대로 지배자와 저항자의 희비극적 서사를 풀어내는 칼럼입니다.
황금성 슬롯바다이야기5만모바일 야마토바다이야기 게임기
황금성게임 ㆀ 35.rfm813.top ㆀ 파칭코하는법
황금성게임 ㆀ 0.rfm813.top ㆀ 파칭코하는법
황금성게임 ㆀ 30.rfm813.top ㆀ 파칭코하는법
황금성게임 ㆀ 57.rfm813.top ㆀ 파칭코하는법
바로가기 go !! 바로가기 go !!
릴게임야마토 먹튀피해복구 온라인 릴게임 사이트 바다이야기 먹튀 돈 받기 강원랜드 슬롯 잘 터지는 기계 다빈치다운로드 알라딘게임랜드 메이저릴게임사이트 오션바다이야기게임 오션파라다이스시즌7 호게임 무료 충전 바다이야기 오션파라다이스 릴게임 바다이야기pc버전다운 알라딘릴 알라딘릴게임오락실 사다리게임주소 온라인황금성 슬롯게임 실시간 블랙홀3D 릴게임 황금성온라인 황금성매장 온라인빠찡고 모바일 야마토 모바일게임 창원경륜경륜장 릴게임바다이야기 손오공릴게임 10원야 마토 야마토하는법 손오공릴게임예시 바다이야기 무료게임 모바일 게임 공략 릴게임오션 최신야마토 바다이야기 pc버전 황금성 무료머니 황금포커성 바다이야기pc 릴게임알라딘주소 모바일릴게임 바다이야기 먹튀 온라인바다이야기 온라인야마토 야마토노하우 황금성게임다운로드후기 골드몽 바다이야기온라인 오션 슬롯모아 온라인야마토2 온라인릴게임먹튀검증 고전릴게임 바다이야기 게임 방법 빠찡코 하는 방법 황금성게임종류 바다이야기7 블랙홀3D 릴게임 오리 지날황금성 무료슬롯버프 슬롯게시판 바다이야기 게임장 백경게임사이트 슬롯추천 오션파라다이스게임 야마토오락 실게임 릴게임환수율 슬롯머신추천 릴박스 릴게임다운 올쌈바 황금성게임다운 사이다쿨게임 모바일신천지모바일 백경 게임 온라인황금성 바다이야기게임다운로드 오리지날게임 황금성 릴게임 알라딘게임랜드 릴게임 백경 야먀토5 야마토5게임방법 황금성게임랜드 일본빠찡코 바다이야기 코드 바다이야기사이트먹튀 릴파라다이스 체리마스터 다운로드 상품권릴게임 바다이야기먹튀신고 신오션파라다이스 바다이야기먹튀 야마토게임다운 스핀모바게임랜드 야마토게임 황금성2 중고게임기 매매 황금성배당 황금성예시 pc야마토게임 검증완료릴게임 체리게임바둑이 바다이야기앱 신천기릴게임 다빈치무료릴게임 야마토무료게임 바다이야기꽁머니환전윈윈 야마토3게임다운로드후기 황금성3 황금성게임공략 법 인터넷신천지 릴게임안전사이트 100원바다이야기 백경게임랜드 오락실릴게임 모바일 바다 이야기 다운 메이저 슬롯사이트 무료충전바다이야기 바다이야기 배당 용의눈게임 오션파라다이스릴게임 무료 슬롯 메타 황금성용가리 슬롯게임 니항 사건과 자유시 사변의 자초지종을 기록한 ‘김낙현의 수기’(1967년 2월20일) 번역본 첫 쪽. 김낙현이 러시아어로 작성한 원고를 김세일이 한국어로 번역함. 임경석 제공니콜라옙스크 한인 무장부대의 김낙현(김 인노켄티) 참모장은 자신이 이끌었던 험난한 행군 경험을 이렇게 회상했다.
우리 ‘사할린 조선인 빨찌산 특립연합부대’는 케르비에서 떠나 밀림을 뚫고 자유시까지 1200~1300㎞의 무서운 험로를 돌파해야 하였다. 이 험준한 장정은 9월 초에 시작되었다. 우리의 행군 로정에는 식량을 충분히 보충할 만한 그런 부락들이 없었다. 그리하여 우리는 굶주림을 면치 못했다. 무서운 고생을 하면서 아무르주에 당도하게 되니….1
예가람 행군 노정은 케르비에서 스보보드니(자유시)까지였다. 도합 1200~1300㎞에 이르는 장거리였다. 한반도 최남단 목포에서 최북단 온성에 이르는 거리와 비슷했다. 그중에서 첫 400㎞ 구간이 가장 험난했다. 중간 기착지인 예킴찬까지 가려면 암군강과 셀렘자강의 분수령인 얌알린 산맥을 넘어야 했다. 무성한 타이가 원시림 지역이었다. 이렇다 할 교통수단도 국민은행대출신청 없었다. 길이 있었지만, 금광을 찾느라 낸 좁은 산길에 불과했다. 오직 걸어서 넘을 수밖에 없었다. 김낙현은 이 길을 ‘무서운 험로’라고 표현했다.
겨울이 오기 전 자유시로… 항일 독립군의 고된 행군
도대체 누가 왜 이런 행군에 나서야 했을까. 김낙현이 ‘사할린 조선인 빨찌산 특립연합부대’라고 호명한 이 군사단체는 트랴 지원동기및특이사항 피친 사령관 지휘하에 니콜라옙스크 해방전투에 참전했던 항일 무장부대였다. ‘니항한인군대’라고도 불리던 이 부대의 명칭은 스스로 발표한 포고문에 따르면 ‘니시(尼市·니콜라옙스크) 대한독립군’이었다.
대한독립군만이 행군에 나선 것은 아니었다. 1920년 7월 케르비 쿠데타를 통해 트랴피친 지휘부를 전복하고 군 지휘권을 장악한 안드레예프 휘하의 미국 자동차 모든 적색 빨치산 부대가 그 길에 올랐다. 군대만이 아니었다. 민간인들도 대거 이동시킬 계획이었다. 피란민 대중의 식량 문제를 해결하고, 예견되는 일본군의 내습에 대비하려면 겨울이 오기 전에 아무르주 주도인 블라고베셴스크로 이동해야만 했다.
얌알린산맥을 넘는 행군은 결국 빨치산과 일부 주민에게만 한정됐다. 여성과 어린이는 아무르강 수로를 일반전세자금대출조건 이용하는 것이 허용됐기 때문이다. 여성과 어린이 3500명 이상이 증기선 편으로 이송됐다. 수로를 장악한 일본군은 대포와 기관총구를 줄지어 늘어놓은 삼엄한 감시 속에 난민을 태운 증기선들을 통과시키고 있었다.
성인 남성은 육로를 택해야 했다. 걸어서 산맥을 넘었다. 그들은 행군 중에 갖은 고통을 겪었다. 길은 자주 끊겼다. 길 없는 숲을 가로질렀고, 늪지대와 급류를 건너야 했다. 하루 종일 끊임없이 윙윙거리는 모기떼에 시달렸다. 몸 전체에 모기 물린, 피로 얼룩진 줄무늬와 흉터가 생겼다. 가장 큰 고통은 식량 부족이었다. 행군 도중에 식사를 공급할 수 있는 지점을 사전에 조직했지만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식사량은 언제나 부족했고, 사람들은 굶주림을 면치 못했다.
트랴피친 죽음을 둘러싼 제19연대의 내부 분열
대한독립군의 행군이 시작된 때는 1920년 9월 초였다. 그들은 예킴찬까지 육로로 400㎞, 그곳에서 셀렘자강의 수로를 통해 약 800㎞를 이동해 마침내 목적지 자유시에 도착했다. 대한독립군이 현지의 한인 무장부대(한인보병자유대대)의 환영식을 받은 것이 그해 10월12일이었다.2 고난의 행군을 마치는 데 도합 40일이 걸렸음을 알 수 있다.
대한독립군만이 아니었다. 니콜라옙스크의 러시아인 빨치산 부대들도 앞서거니 뒤서거니 자유시에 집결했다. 트랴피친이 창설한 빨치산 부대의 구성원이었다. 이들은 인민혁명군 제2군단 제19연대로 재조직됐다. 유격전을 수행하는 비정규군이 아니라 극동공화국의 정규 군대로 재편된 것이다. 대한독립군도 그 일원이 됐다. 제19연대의 제3대대로 배속됐다.
그러나 새로 편성된 제19연대는 극동공화국 당국의 신뢰를 얻지 못했다. 트랴피친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의심을 받았다. 반대파의 시각에 따르면, 그들은 “군율에 복종치 않고, 지방 인민에게 악폐를 끼치고, 일반 군계에 풍기를 문란”케 했다.3 심지어 자유시 일대를 멋대로 장악하려는 음모까지 꾸몄다는 혐의를 받았다.
실제 제19연대 군인들의 여론은 둘로 나뉘어 있었다. 하나는 탁월한 혁명 지도자 트랴피친과 그 동료들이 억울한 죽임을 당했다고 보는 견해이고, 다른 하나는 그를 숙청함으로써 무분별한 학살과 약탈을 저지할 수 있었다고 보는 견해이다. 이 중에서 전자가 다수를 점했다. 훨씬 더 많은 병사가 트랴피친을 동정했다. 그에게 들씌워진 학살자, 약탈자 따위의 악평은 근거 없는 것이라고 보았다. 한인들도 그랬다. 트랴피친 처형에 가담한 박병길·김낙현 등의 그룹은 절대다수의 한인 병사들로부터 비난을 받았다.4 항일투쟁의 공로자인 트랴피친을 총살하는 데 가담한 행동을 용서할 수 없는 배신으로 여겼다.
‘박병길 면직’ 조건으로 자유대대 합류한 대한독립군
니콜라옙스크 대한독립군과 한인보병자유대대의 갈등을 기록한 소책자 ‘재노고려혁명군대연혁’ 표지. 임경석 제공
극동공화국 당국은 신속하게 대응했다. 10월22일이었다. 제19연대가 새로 조직된 지 10일밖에 지나지 않은 시점이었다. 제2군단 지휘부는 군대를 출동시켜 제19연대를 포위하고, 그들의 무장을 해제했다. 자유시 구역 전복 음모 혐의 때문이었다. 결국 제19연대는 해산됐고, 음모 사건에 관계하지 않았다고 인정받은 군인들만 그 밖의 연대에 뿔뿔이 흩어진 채로 편입됐다.
한인들로 구성된 제19연대 3대대도 같은 운명을 맞았다. 3대대는 해산됐고, 그 구성원들은 한인보병자유대대(약칭 자유대대)에 편입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러나 옛 대한독립군 병사들은 자유대대 배속을 달가워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자유대대가 트랴피친 축출에 가담한 박병길 그룹을 중용했기 때문이다. 박병길은 자유대대 참모부 비서라는 요직에 올랐고, 모스크바 유학생으로 추천받아 머지않아 러시아 수도로 향발할 예정이었다. 그 밖에 김낙현, 안기석, 채재현 등도 확대 개편된 자유대대의 중대장, 소대장 직위에 취임했다. 옛 대한독립군 병사들은 항일투쟁의 동지 트랴피친을 배신한 자들이 지휘관 자리에 재직하는 한 결코 명령을 따를 수 없다고 생각했다.
이유는 또 있었다. 자유대대는 대한국민의회의 ‘정신적 지도’를 받는 군대이기 때문이었다. 옛 대한독립군 병사들은 3·1운동의 소산인 상하이 임시정부를 독립운동의 최고기관으로 보고 있었다. 그런데 러시아 영내 일개 교민단체에 지나지 않는 대한국민의회가 그를 대신해 군 지휘권을 행사하려는 것은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했다.
옛 대한독립군 병사들은 조건을 내세웠다. 자유대대 배속을 받아들이는 대신 박병길 그룹의 간부직 면직을 요구했다. 집단행동도 마다하지 않았다. 연명 청원서를 냈고, 자유대대 지휘부 건물에 몰려와 그들의 해임을 요구하는 시위도 벌였다. 그리고, 박병길이 암살됐다. 그의 피살을 현장에서 목격한 김낙현은 이렇게 회고했다.
‘그날 밤 11시경에 10여 명 되는 무장한 사람들이 가면을 쓰고 와서 영창을 지키는 파수병들을 무장해제시키고, 영창 안에 들어가 “박병길이 어디 있소?” 하고 소리쳤다. 그러니 박병길이는 “내가 여기 있소” 하고 대답하면서 자기 갇혀 있던 방에서 나왔다. 이때 그들은 그를 총으로 쏘고 총창으로 찔러 잔인하게 죽였다.’5
케르비 쿠데타를 향한 니시 빨치산의 원한과 분노
박병길의 무덤가에서 발견된 홍마리아의 주검. 김영주 화백의 삽화. 박계주 연재소설 ‘대지의 성좌’ 282회, 동아일보 1958년 9월10일 4면. 임경석 제공
‘그날’이란 1921년 1월28일을 가리킨다. 니콜라옙스크 대한독립군이 자유시에 도착한 지 2개월 보름쯤 지난 뒤였다. 짧은 기간에 한인 빨치산 내부의 적대감이 극도로 악화했음을 볼 수 있다. ‘밤 11시경’이라 하니 어둡고 추운 시간대였다. 자유시의 1월 평균 기온은 최하 –27도였고, 한낮에도 –17도 전후를 오르내렸다.6
피살 장소는 ‘영창’이었다. 자유시 지방수비대 유치장에 박병길과 김낙현 등 한인 빨치산 장교 4명이 수감돼 있었다. 모두 트랴피친 지휘부를 처형하는 데 주도적으로 가담한 이들이었다. 이들은 왜 군대 유치장에 갇혀 있을까? 보호하기 위해서였다. 자유대대 지휘관이자 자유시 수비대장을 겸하던 오하묵 사령관은 집단행동을 하는 옛 대한독립군 병사들을 회유하는 한편, 네 장교의 안전을 도모하고자 했다. 파수병까지 세운 이유였다.
얼굴을 가린 무장한 사내 10여 명이 유치장을 급습했다. 병영 내 유치장에 접근하는 길을 알고, 또 파수병들을 손쉽게 무장해제시킨 것을 보면 군인임이 틀림없는 것 같다. 그들은 총기를 휴대했다. 수감자 가운데 박병길 한 사람만 특정해 잔인하게 사살했다. 이 일은 불과 몇 분 사이에 신속하게 이뤄졌다. 그 뒤 범인들은 현장을 벗어나서 감쪽같이 사라져버렸다. 범인이 어떤 자들인지는 끝내 밝혀지지 않았다.
트랴피친 지휘부 23명을 총살형에 처했던 케르비 쿠데타는 니콜라옙스크 빨치산들의 가슴속 깊이 원한과 분노를 심었던 것 같다. 쿠데타를 이끌었던 안드레예프도 박병길과 비슷한 운명을 겪었다. 안드레예프는 세 번의 암살 시도를 겪었다. 첫 번째 사건은 어느 기차역에서 일어났다. 겨울인데 일행 가운데 한 사람이 안드레예프의 털코트를 빌려 입고서 잠깐 플랫폼에 내려갔다가 여러 발의 총을 맞고 사망했다. 한번은 블라고베셴스크에 거주할 때 그의 아파트로 귀가하는 중에, 총알이 그의 팔을 스치고 지나갔다. 그의 삶은 끊임없이 위험에 처했다.7
박병길에게는 약혼녀가 있었다. 니콜라옙스크에서 함께 성장한 홍마리아라는 여성이었다. 러시아 사범학교를 졸업하고 블라고베셴스크에서 교사로 재임 중이었다. 그는 박일리야의 고종사촌 동생이기도 했다. 약혼자의 신변이 위태로워짐을 감지한 홍마리아는 박일리야를 찾아가 애원했다고 한다. 박일리야는 결국 용서를 약속했지만, 끝내 박병길의 죽음을 막지는 못했다.
박병길의 장례식이 있던 날, 홍마리아는 검은 베일을 쓰고 망자의 아내 자격으로 참석해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그뿐만이 아니다. 그 이튿날 갓 조성한 박병길의 무덤 곁에서 그의 주검이 발견됐다. 사람들은 또 한 번 놀랐다. 홍마리아는 자기 속마음을 담은 유서를 남겼다고 한다. 유서는 유감스럽게도 오늘날까지 전해지지 않는다.
참고 문헌
1. 김낙현, ‘빨찌산의 수기’, 1967년 2월20일, ‘한국독립운동사자료집 홍범도 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10~411쪽, 1995년.
2. 고려혁명군대 문명부, ‘재노고려혁명군대연혁’, 6쪽, 1922년 8월,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鮮人과 過激派(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DB.
3. 위의 글 , 16 쪽 .
4. 김세일 , ‘ 홍범도’ 4, 제 3 문학사 , 49~50 쪽, 1990년.
5. 김낙현, 앞의 글, 411쪽.
6. Погода в Свободном в январе( 스보보드니 1 월 날씨 ), https://yandex.ru/pogoda/ru/svobodniy/month, 2025 년 10 월 21 일 접속 .
7. Рассказ моей мамы Марии Ивановны Лоскутниковой(내 어머니 마리아 이바노브나 로스쿠트니코바의 이야기), https://lektsia.com/15x7678.html 2025년 9월15일 접속.
글·사진 임경석 성균관대 사학과 명예교수·‘독립운동 열전’ 저자
*임경석의 역사극장: 한국 사회주의 운동사의 권위자인 저자가 한국 근현대사 사료를 토대로 지배자와 저항자의 희비극적 서사를 풀어내는 칼럼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