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바다이야기 ㆆ 88.ryp383.top ㆆ 바다이야기 조작
페이지 정보
작성자 반성규수 작성일25-10-24 17:56 조회0회 댓글0건관련링크
-
http://91.rkp925.top
0회 연결
-
http://91.req598.top
0회 연결
본문
【45.ryp383.top】
바다이야기게임공략방법 메이저릴게임사이트 카지노릴게임 파칭코 어플 모바일 게임 공략 바다신2 영상 모바알바다이야기 오션파라 다이스다운 PC파칭코 슬롯머신무료 오션슬롯 먹튀 우주전함야마토2202 바다이야기 백경 양귀비예시 릴게임정글북 체리마스터 비법 메타슬롯 용의 눈 게임 황금성어플 무료게임 씨엔조이 릴게임 황금포카성 오리 지날야마토2게임 릴게임릴게임갓 몰게임 슬롯커뮤니티 안전검증릴게임 야마토게임공략 법 백경다운로드 실시간파워볼 체리마스터게임 릴게임동영상 오리 지날황금성 바둑이넷마블 알라딘꽁머니 체리 마스터 pc 용 실시간바둑이 바다이야기릴게임 잘터지는 슬롯 신규릴게임 무료 야마토 게임 한국파칭코 오션파라다이스3 릴게임골드몽 파칭코종류 빠찡코 하는 방법 릴게임종류 잘터지는 슬롯 바다이야기모바일 오징어릴게임 슬롯머신 황금성9 오션파라다이스사이트 게임바둑이추천 pc야마토 10원야마토게임 슬롯머신 잭팟 황금성제주도 바다이야기게임다운로드 양귀비게임설명 온라인릴게임 먹튀 검증 사이다쿨 알라딘 게임 다운 다빈치무료릴게임 무료충전릴게임 백경게임공략방법 야마토하는법 오션파라 다이스다운로드 바다이야기 환전 져스트릴게임 게임몰릴게임 양귀비게임 신야마토 카지노릴게임 슬롯머신 알고리즘 릴게임사이트 오션파라다이스 예시 일본야마토게임 해저이야기사이트 잭팟게임 바다이야기하는법 알라딘꽁머니 바다이야기주소 릴게임오션파라다이스 모바일야마토5게임 양귀비 릴게임 잭팟 슬롯 황금성 게임 무료 슬롯 머신 카지노 게임 야마토게임 하기 릴게임용의눈 황금성게임다운로드 무료 야마토게임 릴게임가입머니 릴게임 꽁머니 뽀빠이릴게임 릴게임설치 해외축구일정 바다이야기 기프트 전환 바다이야기파일 최신 릴게임 릴게임검증 슬롯나라무료 바다이야기 게임 방법 알라딘릴게임오락실 하이로우하는법 바다이야기 릴게임 바다이야기파칭코 오리지날 양귀비 릴게임천국 알라딘온라인릴게임 인터넷예시게임 오락실황금성 게임황금성 온라인백경 야마토 릴게임 릴게임사이트 빠칭코 슬롯머신 프라그마틱 슬롯 체험 바다슬롯 먹튀 바다이야기 무료 없습니다. 릴게임임대 릴게임무료 손오공 게임 '기각한필(綺閣閒筆)'표지. 장서각 소장. 필사본 1책. 30×21.3cm. 문희순 문학박사·충청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제공
①뉘 이르되 부녀의 길이 어렵다던가? / 백 리 노성을 반나절에 돌아왔다네. / 걸음과 걸음 따라가며 잠시도 쉬지 않으니 / 가던 길 거듭 밟아 앞산을 지나는도다. / 주막이 이제 어느 곳에 있느뇨? / 쇠잔한 마을의 성긴 연기 산 사이로 피어오르네. / 해 저문 고개머리 흐린 구름이 많고, / 혹 눈 내릴까 두려워 말을 세우고 보노라. / 집 떠난 지 십 년 만에 옛 집을 찾아가니 / 사람은 늙었으나 그윽한 대숲은 그대로여라. / 아이들 서로 바라보매 알아보지 못하고 / 강보에 싸였던 일 엊그제 더니 이미 갓을 썼구나. (기각 갤럭시S2주식
시 '노성으로 돌아가다(환노성)')
②날은 저물고 북풍이 차니 / 눈길을 가기가 어렵구나. / 바람결에 개 짖는 소리를 들으니 / 마을이 산 사이에 있도다. (기각 시 '청양으로 돌아오는 길에서(행중환청양')
위의 작품 두 수를 지은 사람은 기각(綺閣, 19세기)이다. '기각'은 이름이 아니라, 시인의 호이다. 지금까지 한양증권 주식
세상에 잘 알려지지 않았는데, 최근에 장서각에 소장된 기각의 시문집 '기각한필(綺閣閒筆)'이 학계에 소개되면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기각은 충남 논산 노성에서 태어나 혼인 후 청양에서 살았다. 아직까지 어느 집안의 여성인지 밝혀지지 않았는데 시 작품을 통해 볼 때, 1800년대 중반 전후로 살았던 여성으로 짐작된다.
①과 ②의 작품은 엘티에스 주식
10년 만에 친정을 방문하였다가 자신의 집으로 돌아가는 여정과 감회를 읊은 시이다. 제목에 '환(還)'이라는 글자가 공통으로 들어가 있는데, ①의 '환노성(還魯城)'은 친정이 있는 '노성'을 방문하는 여정, ②의 '환청양(還靑陽)'은 다시 자신의 삶의 공간 '청양'으로 되돌아가는 과정을 노래한 것이다. ①의 시에서 말했듯이 시집 청양에서 친정 노성의 거리는주식매수종목
백 리, 말을 타고 한나절 만에 오갈 수 있는 거리이다. 그렇지만 기각의 친정 행차는 10년 만에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기각한필' 수록 '환노성', '행중환청양' 시. 문희순 문학박사·충청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제공
바다이야기 먹튀
◇기각의 생애 및 가계=기각의 이름은 알려져 있지 않다. 생몰연대와 가족관계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기각한필'에 여느 한시집의 경우처럼 시집의 서문이나 발문이 덧붙여 있었더라면 기각의 인물정보가 확연히 드러났겠으나, 서발문이 없어 작가 추정에 어려운 점이 있다.
작품 속에서 표현된 가족은 '상회'라는 호를 가진 오라버니, 아들, 질녀, 종형 등이 있다. 그리고 작품 중에 홍현주(洪顯周, 1793-1865)의 시 '동가십영(東嘉十詠)'에 차운한 10수의 시가 있는데, 이를 통해 풍산홍씨 집안과의 연관성도 추측해 볼 수 있다.
기각이 살았던 시대는 19세기이다. 19세기로 추정하는 근거는 '기각한필'에 수록된 작품 가운데, '금원에게(증 금원)'·'금원 시에 차운한 두수(금원 차운 이수)'·'금원 질녀에게(증 금원 질녀)'·'금원의 시에 차운한 빗속에 쓴 네 편의 시(우중작시 사수 차 금원 운)' 등의 시에서, 여성시인 김금원(金錦園, 1817-?)과의 문학교류가 주목되기 때문이다. 기각은 김금원을 질녀라고 호칭하였는데, 그녀와 한시를 주고받으며 긴밀하게 소통하고 있다. 김금원은 14세의 나이로 남자로 변장하고 금강산과 관동팔경 여행을 감행한 것으로 유명하고, 여성시인 박죽서·김경춘·경산·김부용 등과 '삼호정시사(三湖亭詩社)' 활동을 하였다.
기각은 높은 자존감을 가진 여성이었다. 시에서 읊기를, "평생을 사나이의 뜻을 지녔으나, 다만 규중의 여성으로 산 것을 탄식한다."('우음' 시), "하늘이 나의 재주를 주었으매 반드시 쓰일 데가 있어서이건마는, 여자 된 것이 한이요, 또 이룬 것 없이 머리가 희끗희끗 세어졌다."('자탄' 시)고 탄식하였다.
기각은 아들에게 학문에 힘쓰도록 당부한 시 '권학증아자(勸學贈兒子)'에서, 시댁을 '시녜명가(詩禮名家)' 곧 '시와 예에 이름난 집안'이라고 읊었는데, 기각의 친정과 시가 모두 호서예학의 명문가이었음을 추정해 볼 수 있다. 그러한 양가 집안의 분위기 속에서, 기각의 수준 높은 문학 역량이 발휘된 것으로 보인다.
'기각한필' 수록 '투계(닭싸움)' 시. 문희순 문학박사·충청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제공
◇'기각한필(綺閣閒筆)', 한글로 향유된 격조 높은 작품세계= '기각한필'에는 총 249수의 한시가 수록되어 있다. 이 중에 기각이 창작한 시는 모두 247수이고, 2수가 기각의 오라버니 상회의 작품이다. 상회의 작품은 기각과 헤어지며 써준 '별장증매자'(別章贈妹子)시 2수인데, 자신의 여동생 기각을 소동파의 누이동생 소소매(蘇小妹)에 비유하며 시를 잘 짓는다고 평가하였다.
'기각한필' 표지 이면에는 "계축 원월 일 청양 서방 남창하의셔 필서하다. 공 장 병 팔십 장"이라는 기록이 있다. 이 책의 필사를 마친 시기와 장소, 페이지 수를 기록한 것인데, 시기는 1853년(계축) 1월, 장소는 청양이다.
'기각한필'의 특이점은 한시작품집이지만 한자표기는 하나도 없고, 모두 한글로만 기록되어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시집은 한자로 표기되어 있는 것이 상례인데 '기각한필'은 한시를 '한글음사'로 음을 달고, 그 한시의 뜻까지도 한글로 나란히 표기해 놓은 방식이다. 한글필체는 정성스럽고 정갈한데, 한시 부분은 정자체, 번역 부분은 흘림체로 썼다.
그런데 '기각한필'을 쓴 사람이 기각 자신인지, 아니면 타인이 필사한 것인지는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만일 기각이 자신이 지은 한시작품을 한글번역 까지 이뤄내 두 가지 언어의 한시집을 이룩해놨다면, 이는 매우 강한 자의식의 발로요, 통쾌한 문학적 위업이라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시구에는 붉은색과 파란색의 먹으로 비점(批點)과 관주(貫珠) 표시가 되어 있는데, 이는 후대 누군가가 '기각한필'의 시집을 애장하여 읽으며 나름의 비평 흔적을 남긴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조선사회는 여성들에게 혹독하리만치 자아 발전의 기회를 허락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토록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자신의 문학적 역량을 발휘하여 시 작품을 남긴 여성이 적지 않다. 그러한 결실이 19세기에 이르러서 여성 한시작품이 한글로 번역되기에 이른다. 한자를 잘 모르는 여성이라 하더라도 한글로 번역된 한시작품을 향유하게 된 것이다. 은폐된 한 여성의 창작물이 안채의 담장을 넘어 입에서 입으로 구전되며, 다수의 독자층을 형성하게 된 매우 중요한 문화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회덕에 거주한 청송심씨(1747-1814)가 시증조모 김호연재(1681-1722)의 한시를 한글로 번역한 '증조고시고'와 '기각한필'의 존재는, 그러한 조선 후기 고품격 문화의 한 단면을 반증하는 결과물이다. 다른 지역에서 발견되지 않는 한글번역시집이 충청도 지역에서 두 책이나 전해 내려온 사실은, 충청도 사람들의 문학 향유 방식이 타 지역에 비해 앞서나갔던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풍부한 일상의 발견, 기속(記俗)·영물(詠物) 시로 표현=기각 시의 특징은 풍부한 일상의 발견에 있다.
첫째, 19세기 조선의 풍속화를 보는 듯한 이미지가 표현되어 있다. 닭싸움을 묘사한 '투계', 죽마를 타고 노는 아이들의 모습을 그린 '촌동유회', 그네를 타는 여인의 모습을 형상화한 '추천', 뱃놀이를 묘사한 '선유', 씨름장면을 노래한 '각희', 윷놀이를 노래한 '척사', '쌍륙놀이', '연날리기' 등이다.
둘째, 계절의 변화와 풍경, 사물을 포착하여 노래하였다. '수박·물속의 달·제비집·파리·가을밤·개구리 울음·국화·무지개·미인도·바둑·돈·너럭바위·누에고치·둥근거울·용·맹호·맑은 바람·별·나는 새·촛불·가을기러기·단풍·서리·붓·학·화분·게 잡는 불·벼타작·새벽닭·눈 속에 핀 매화·매·흰 눈·나비·언덕 위의 꽃·꾀꼬리·삼복더위·낚시질·맑은 얼음·까치집·연꽃·복숭아·개구리·철 늦은 매미·곶감·비 속 개구리 울음·소나기 등이다.
기각의 시는 이렇듯 자신의 주변에서 벌어지는 소소한 일상과 사물을, 섬세한 감성의 언어로 투영시켰다는 점이 큰 특징이라 하겠다. 문희순 문학박사·충청문화연구소 연구교수
모바일바다이야기 ㆆ 0.ryp383.top ㆆ 바다이야기 조작
모바일바다이야기 ㆆ 66.ryp383.top ㆆ 바다이야기 조작
모바일바다이야기 ㆆ 34.ryp383.top ㆆ 바다이야기 조작
모바일바다이야기 ㆆ 43.ryp383.top ㆆ 바다이야기 조작
바다이야기게임공략방법 메이저릴게임사이트 카지노릴게임 파칭코 어플 모바일 게임 공략 바다신2 영상 모바알바다이야기 오션파라 다이스다운 PC파칭코 슬롯머신무료 오션슬롯 먹튀 우주전함야마토2202 바다이야기 백경 양귀비예시 릴게임정글북 체리마스터 비법 메타슬롯 용의 눈 게임 황금성어플 무료게임 씨엔조이 릴게임 황금포카성 오리 지날야마토2게임 릴게임릴게임갓 몰게임 슬롯커뮤니티 안전검증릴게임 야마토게임공략 법 백경다운로드 실시간파워볼 체리마스터게임 릴게임동영상 오리 지날황금성 바둑이넷마블 알라딘꽁머니 체리 마스터 pc 용 실시간바둑이 바다이야기릴게임 잘터지는 슬롯 신규릴게임 무료 야마토 게임 한국파칭코 오션파라다이스3 릴게임골드몽 파칭코종류 빠찡코 하는 방법 릴게임종류 잘터지는 슬롯 바다이야기모바일 오징어릴게임 슬롯머신 황금성9 오션파라다이스사이트 게임바둑이추천 pc야마토 10원야마토게임 슬롯머신 잭팟 황금성제주도 바다이야기게임다운로드 양귀비게임설명 온라인릴게임 먹튀 검증 사이다쿨 알라딘 게임 다운 다빈치무료릴게임 무료충전릴게임 백경게임공략방법 야마토하는법 오션파라 다이스다운로드 바다이야기 환전 져스트릴게임 게임몰릴게임 양귀비게임 신야마토 카지노릴게임 슬롯머신 알고리즘 릴게임사이트 오션파라다이스 예시 일본야마토게임 해저이야기사이트 잭팟게임 바다이야기하는법 알라딘꽁머니 바다이야기주소 릴게임오션파라다이스 모바일야마토5게임 양귀비 릴게임 잭팟 슬롯 황금성 게임 무료 슬롯 머신 카지노 게임 야마토게임 하기 릴게임용의눈 황금성게임다운로드 무료 야마토게임 릴게임가입머니 릴게임 꽁머니 뽀빠이릴게임 릴게임설치 해외축구일정 바다이야기 기프트 전환 바다이야기파일 최신 릴게임 릴게임검증 슬롯나라무료 바다이야기 게임 방법 알라딘릴게임오락실 하이로우하는법 바다이야기 릴게임 바다이야기파칭코 오리지날 양귀비 릴게임천국 알라딘온라인릴게임 인터넷예시게임 오락실황금성 게임황금성 온라인백경 야마토 릴게임 릴게임사이트 빠칭코 슬롯머신 프라그마틱 슬롯 체험 바다슬롯 먹튀 바다이야기 무료 없습니다. 릴게임임대 릴게임무료 손오공 게임 '기각한필(綺閣閒筆)'표지. 장서각 소장. 필사본 1책. 30×21.3cm. 문희순 문학박사·충청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제공
①뉘 이르되 부녀의 길이 어렵다던가? / 백 리 노성을 반나절에 돌아왔다네. / 걸음과 걸음 따라가며 잠시도 쉬지 않으니 / 가던 길 거듭 밟아 앞산을 지나는도다. / 주막이 이제 어느 곳에 있느뇨? / 쇠잔한 마을의 성긴 연기 산 사이로 피어오르네. / 해 저문 고개머리 흐린 구름이 많고, / 혹 눈 내릴까 두려워 말을 세우고 보노라. / 집 떠난 지 십 년 만에 옛 집을 찾아가니 / 사람은 늙었으나 그윽한 대숲은 그대로여라. / 아이들 서로 바라보매 알아보지 못하고 / 강보에 싸였던 일 엊그제 더니 이미 갓을 썼구나. (기각 갤럭시S2주식
시 '노성으로 돌아가다(환노성)')
②날은 저물고 북풍이 차니 / 눈길을 가기가 어렵구나. / 바람결에 개 짖는 소리를 들으니 / 마을이 산 사이에 있도다. (기각 시 '청양으로 돌아오는 길에서(행중환청양')
위의 작품 두 수를 지은 사람은 기각(綺閣, 19세기)이다. '기각'은 이름이 아니라, 시인의 호이다. 지금까지 한양증권 주식
세상에 잘 알려지지 않았는데, 최근에 장서각에 소장된 기각의 시문집 '기각한필(綺閣閒筆)'이 학계에 소개되면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기각은 충남 논산 노성에서 태어나 혼인 후 청양에서 살았다. 아직까지 어느 집안의 여성인지 밝혀지지 않았는데 시 작품을 통해 볼 때, 1800년대 중반 전후로 살았던 여성으로 짐작된다.
①과 ②의 작품은 엘티에스 주식
10년 만에 친정을 방문하였다가 자신의 집으로 돌아가는 여정과 감회를 읊은 시이다. 제목에 '환(還)'이라는 글자가 공통으로 들어가 있는데, ①의 '환노성(還魯城)'은 친정이 있는 '노성'을 방문하는 여정, ②의 '환청양(還靑陽)'은 다시 자신의 삶의 공간 '청양'으로 되돌아가는 과정을 노래한 것이다. ①의 시에서 말했듯이 시집 청양에서 친정 노성의 거리는주식매수종목
백 리, 말을 타고 한나절 만에 오갈 수 있는 거리이다. 그렇지만 기각의 친정 행차는 10년 만에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기각한필' 수록 '환노성', '행중환청양' 시. 문희순 문학박사·충청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제공
바다이야기 먹튀
◇기각의 생애 및 가계=기각의 이름은 알려져 있지 않다. 생몰연대와 가족관계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기각한필'에 여느 한시집의 경우처럼 시집의 서문이나 발문이 덧붙여 있었더라면 기각의 인물정보가 확연히 드러났겠으나, 서발문이 없어 작가 추정에 어려운 점이 있다.
작품 속에서 표현된 가족은 '상회'라는 호를 가진 오라버니, 아들, 질녀, 종형 등이 있다. 그리고 작품 중에 홍현주(洪顯周, 1793-1865)의 시 '동가십영(東嘉十詠)'에 차운한 10수의 시가 있는데, 이를 통해 풍산홍씨 집안과의 연관성도 추측해 볼 수 있다.
기각이 살았던 시대는 19세기이다. 19세기로 추정하는 근거는 '기각한필'에 수록된 작품 가운데, '금원에게(증 금원)'·'금원 시에 차운한 두수(금원 차운 이수)'·'금원 질녀에게(증 금원 질녀)'·'금원의 시에 차운한 빗속에 쓴 네 편의 시(우중작시 사수 차 금원 운)' 등의 시에서, 여성시인 김금원(金錦園, 1817-?)과의 문학교류가 주목되기 때문이다. 기각은 김금원을 질녀라고 호칭하였는데, 그녀와 한시를 주고받으며 긴밀하게 소통하고 있다. 김금원은 14세의 나이로 남자로 변장하고 금강산과 관동팔경 여행을 감행한 것으로 유명하고, 여성시인 박죽서·김경춘·경산·김부용 등과 '삼호정시사(三湖亭詩社)' 활동을 하였다.
기각은 높은 자존감을 가진 여성이었다. 시에서 읊기를, "평생을 사나이의 뜻을 지녔으나, 다만 규중의 여성으로 산 것을 탄식한다."('우음' 시), "하늘이 나의 재주를 주었으매 반드시 쓰일 데가 있어서이건마는, 여자 된 것이 한이요, 또 이룬 것 없이 머리가 희끗희끗 세어졌다."('자탄' 시)고 탄식하였다.
기각은 아들에게 학문에 힘쓰도록 당부한 시 '권학증아자(勸學贈兒子)'에서, 시댁을 '시녜명가(詩禮名家)' 곧 '시와 예에 이름난 집안'이라고 읊었는데, 기각의 친정과 시가 모두 호서예학의 명문가이었음을 추정해 볼 수 있다. 그러한 양가 집안의 분위기 속에서, 기각의 수준 높은 문학 역량이 발휘된 것으로 보인다.
'기각한필' 수록 '투계(닭싸움)' 시. 문희순 문학박사·충청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제공
◇'기각한필(綺閣閒筆)', 한글로 향유된 격조 높은 작품세계= '기각한필'에는 총 249수의 한시가 수록되어 있다. 이 중에 기각이 창작한 시는 모두 247수이고, 2수가 기각의 오라버니 상회의 작품이다. 상회의 작품은 기각과 헤어지며 써준 '별장증매자'(別章贈妹子)시 2수인데, 자신의 여동생 기각을 소동파의 누이동생 소소매(蘇小妹)에 비유하며 시를 잘 짓는다고 평가하였다.
'기각한필' 표지 이면에는 "계축 원월 일 청양 서방 남창하의셔 필서하다. 공 장 병 팔십 장"이라는 기록이 있다. 이 책의 필사를 마친 시기와 장소, 페이지 수를 기록한 것인데, 시기는 1853년(계축) 1월, 장소는 청양이다.
'기각한필'의 특이점은 한시작품집이지만 한자표기는 하나도 없고, 모두 한글로만 기록되어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시집은 한자로 표기되어 있는 것이 상례인데 '기각한필'은 한시를 '한글음사'로 음을 달고, 그 한시의 뜻까지도 한글로 나란히 표기해 놓은 방식이다. 한글필체는 정성스럽고 정갈한데, 한시 부분은 정자체, 번역 부분은 흘림체로 썼다.
그런데 '기각한필'을 쓴 사람이 기각 자신인지, 아니면 타인이 필사한 것인지는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만일 기각이 자신이 지은 한시작품을 한글번역 까지 이뤄내 두 가지 언어의 한시집을 이룩해놨다면, 이는 매우 강한 자의식의 발로요, 통쾌한 문학적 위업이라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시구에는 붉은색과 파란색의 먹으로 비점(批點)과 관주(貫珠) 표시가 되어 있는데, 이는 후대 누군가가 '기각한필'의 시집을 애장하여 읽으며 나름의 비평 흔적을 남긴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조선사회는 여성들에게 혹독하리만치 자아 발전의 기회를 허락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토록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자신의 문학적 역량을 발휘하여 시 작품을 남긴 여성이 적지 않다. 그러한 결실이 19세기에 이르러서 여성 한시작품이 한글로 번역되기에 이른다. 한자를 잘 모르는 여성이라 하더라도 한글로 번역된 한시작품을 향유하게 된 것이다. 은폐된 한 여성의 창작물이 안채의 담장을 넘어 입에서 입으로 구전되며, 다수의 독자층을 형성하게 된 매우 중요한 문화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회덕에 거주한 청송심씨(1747-1814)가 시증조모 김호연재(1681-1722)의 한시를 한글로 번역한 '증조고시고'와 '기각한필'의 존재는, 그러한 조선 후기 고품격 문화의 한 단면을 반증하는 결과물이다. 다른 지역에서 발견되지 않는 한글번역시집이 충청도 지역에서 두 책이나 전해 내려온 사실은, 충청도 사람들의 문학 향유 방식이 타 지역에 비해 앞서나갔던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풍부한 일상의 발견, 기속(記俗)·영물(詠物) 시로 표현=기각 시의 특징은 풍부한 일상의 발견에 있다.
첫째, 19세기 조선의 풍속화를 보는 듯한 이미지가 표현되어 있다. 닭싸움을 묘사한 '투계', 죽마를 타고 노는 아이들의 모습을 그린 '촌동유회', 그네를 타는 여인의 모습을 형상화한 '추천', 뱃놀이를 묘사한 '선유', 씨름장면을 노래한 '각희', 윷놀이를 노래한 '척사', '쌍륙놀이', '연날리기' 등이다.
둘째, 계절의 변화와 풍경, 사물을 포착하여 노래하였다. '수박·물속의 달·제비집·파리·가을밤·개구리 울음·국화·무지개·미인도·바둑·돈·너럭바위·누에고치·둥근거울·용·맹호·맑은 바람·별·나는 새·촛불·가을기러기·단풍·서리·붓·학·화분·게 잡는 불·벼타작·새벽닭·눈 속에 핀 매화·매·흰 눈·나비·언덕 위의 꽃·꾀꼬리·삼복더위·낚시질·맑은 얼음·까치집·연꽃·복숭아·개구리·철 늦은 매미·곶감·비 속 개구리 울음·소나기 등이다.
기각의 시는 이렇듯 자신의 주변에서 벌어지는 소소한 일상과 사물을, 섬세한 감성의 언어로 투영시켰다는 점이 큰 특징이라 하겠다. 문희순 문학박사·충청문화연구소 연구교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